
시간은 속절 없이 흐르고, 어느새 제출 기한이 코 앞까지 다가왔다. 사실 주제를 선정하고도 제출 기한까지는 꽤 넉넉한 시간이 있었는데,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일주일이 그냥 흘러버렸다. 당시 촉박했던 나의 일정을 첨부해 보자면... 개발하여 제출하기까지 한 5일 남짓한 시간이 남아 있었다. 사실, 마감일 오후 4시까지 제출이기 때문에 그 전날 밤까지 제출한다고 생각하면 나흘 안에 개발을 완료했어야 했다. 주제: 코딩으로 아픈 지구를 치료하자 # 레이아웃 구상 내가 생각한 것은 이런 형태의 Split View 였다. Xcode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SwiftUI를 작성할 때 코드를 왼쪽에서 작성하고, 프리뷰를 오른쪽에서 볼 수 있는 것에서 착안하였다. 코드는 블럭으로 할지, 에디터로 할 지 고민이었는데..

이 공고가 올라온 시점에서 단 3주의 시간 밖에 남지 않았다. 아직 주제를 선정하기 못했기 때문에 발등에 불이 떨어진 격이나 마찬가지였다. 이제 내가 전달하고 싶은 주제를 정해야 하는데, 생각나는 주제 3가지 정도를 가지고 구체화를 시키는 것에서 애를 먹고 있었다. 우선 다른 블로그를 면밀히 탐색해본 결과, 공통적으로 주제에 대한 꽤 그럴듯한 추측을 내놓았다. 애플이 관심을 가지거나 애플의 철학을 관통하는 주제는 선정 확률이 높을 것이다. 애플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를 생각해보니, 환경, 교육, 여성, 사회문제, 사회적 약자 등이 떠올랐다. (물론 그런 키워드를 고른다고 해서 꼭 위너가 되리라는 법은 없다) # 키워드 고르기 내가 떠올린 키워드들 중에서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었던 키워드가 세 개 있었는데,..

애플은 세계개발자회의 WWDC(World Wide Developer Conference)를 연례 행사로 기획하고 개최하고 있다. 이 날은 나를 포함한 애플 팬들의 명절이라고 할 수 있다. 매년 새로운 iOS, iPadOS, watchOS, macOS 등 대규모 소프트웨어 업데이트가 발표되고, 새로운 API와 Kit들이 공개되기 때문에 이 날 새벽은 각종 애플 커뮤니티가 하얗게 불타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WWDC 2023에서는 애플이 애플워치 이후 새로운 카테고리의 제품인 혼합현실 헤드셋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기 때문에 그 기대가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가격 또한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사실 많은 사람들의 관심 레이더 밖의 또 다른 WWDC 묘미가 있는데, 바로 Swift St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