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글에 이어서 SwiftUI에서 Map을 다루어 보려고 한다. 지난 글: SwiftUI - MapKit 사용하기 Map에는 MapMarker와 MapAnnotation, MapPin을 사용해 마커를 표시할 수 있는데, 두 방식 중 MapPin은 Deprecated되어 MapMarker나 MapAnnotation의 사용을 권장한다. MapMarker MapMarker.init(coordinate: CLLocationCoordinate2D, tint: Color?) MapMarker는 마커의 위치를 나타내는 coordinate: CLLocationCoordinate2D와 마커의 색상을 결정짓는 tint: Color?의 옵션을 받는다. 이 MapMarker를 Map의 annotationContent에서 생..

iOS 14+ 지난 글에 계속 이어 토이 프로젝트에서 MapKit을 활용해보려고 한다. MapKit을 사용하려 했던 이유 원래는 카카오맵을 사용하기로 안드로이드 개발 팀원과 합의했고, 실제로 상당 부분을 카카오맵으로 개발한 상태였으나, 카카오맵의 SDK가 상당히 노후되어 있어서 마음에 들지 않는 점이 몇가지 있었다. SPM(Swift Package Manager) 미지원 작년 이후 프로젝트들에서 CocoaPods를 최대한 배제하는 중인데, 카카오맵은 아직 CocoaPods을 사용해야 한다. 물론 zip으로 묶은 패키지를 제공하니 큰 문제는 아니지만, 처음부터 삐걱대는 것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벡터맵 미지원 다른 지도 서비스라고 해서 벡터맵을 모두 지원하는 것은 아니지만, 카카오맵의 것은 HD 타일을 설..